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종량제 봉투에 버릴 수 있는 것 총정리!!

by 오야꼬동 오야붕 2025. 4. 10.

우리 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종량제 쓰레기 봉투'. 하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이건 종량제 봉투에 버려도 되나?"라는 고민을 자주 합니다. 혼란을 줄이기 위해, 2025년 기준으로 종량제 봉투에 버릴 수 있는 품목들을 항목별로 정리해드립니다. 실제로 각 지자체의 기준에 따라 일부 예외가 있을 수 있으나, 전국 공통으로 통용되는 가이드를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1. 종량제 봉투란?

종량제 봉투는 가정, 상가, 공공기관 등에서 생활폐기물을 버릴 때 사용하는 지정 봉투입니다. 사용자는 봉투를 구매하여 쓰레기를 배출하며, 봉투의 가격은 폐기물 처리 비용 일부를 사용자에게 전가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핵심 포인트: 종량제 봉투에 버리는 쓰레기는 '일반 생활쓰레기'로, 재활용, 음식물, 대형폐기물 등과 구분됩니다.

2. 종량제 봉투에 버릴 수 있는 대표 품목

2-1. 오염된 플라스틱 및 비닐류

  • 음식물이 묻은 비닐 포장재, 라면 봉지, 과자 봉지 등
  • 플라스틱 컵 중 세척이 어려운 경우 (예: 테이크아웃 음료컵에 얼룩이 남은 경우)

⚠️ 깨끗이 씻어서 재활용이 가능하다면 재활용으로 분리배출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2-2. 휴지류 및 위생용품

  • 사용한 화장지, 키친타올, 물티슈
  • 여성용 위생용품, 기저귀 (변 내용물은 제거 후 배출)

Tip: 기저귀는 별도 분리수거 대상으로 지정된 지자체도 있으니 확인 필요.

2-3. 일회용품 중 오염된 것

  • 일회용 종이컵, 플라스틱 식기류 (기름기나 음식물이 묻은 경우)
  • 종이 포장재 중 코팅되어 재활용이 어려운 것들

출처: 내 손안에 서울

2-4. 깨진 유리 및 도자기류

  • 깨진 접시, 컵, 유리병 등
  • 거울, 창문 유리도 포함되나, 날카로운 부분은 신문지로 감싸야 함

⚠️ 절대 재활용으로 분류하면 안 됨. 다만 대형 유리창은 대형폐기물로 처리해야 함.

2-5. 스티로폼 (오염된 경우)

  • 피자 상자, 육류 포장용 스티로폼 등 오염된 제품
  • 오염이 심해 세척이 불가한 경우에 한함

2-6. 작은 생활가전 부속품

  • 헤어드라이어의 전선 조각, 고장 난 이어폰, 리모컨 껍데기 등
  • 고장 난 충전기와 케이블류 (단, 소형 전자제품 전체는 재활용 센터에 위탁 권장)

중요: 배터리는 반드시 분리 배출해야 하며, 전선과 플라스틱 부품만 해당.

2-7. 낡은 의류나 신발

  • 버릴 수 없을 정도로 훼손된 옷, 구멍 난 양말, 찢어진 속옷 등
  • 재사용이 불가능한 신발류도 포함

⚠️ 의류수거함은 '재사용 가능한' 것들만 받기 때문에 구분 필수.

2-8. 반려동물 배설물 처리 시 사용된 용품

  • 배변 패드, 고양이 모래(일부 제품), 사용한 신문지 등
  • 단, 뭉쳐진 모래는 가능한 일반 쓰레기로, 화장실 배수구 투척은 금지

2-9. 담배꽁초 및 소량의 숯/재

  • 담배 필터 및 재떨이 속 내용물
  • 소량의 숯이나 재 (예: 고기 구운 후 남은 재)

주의: 다 타지 않은 숯은 발화 가능성이 있으므로 반드시 식힌 후 배출.

2-10. 식품 포장지와 비닐랩

  • 깨끗이 씻기 힘든 김 포장지, 김밥 포장랩 등
  • 코팅된 종이포장지 (예: 아이스크림 포장지)

3. 종량제 봉투에 버리면 안 되는 것 (반드시 분리배출 혹은 별도 처리)

3-1. 재활용 가능한 품목

  • 투명 페트병, 유리병, 종이류, 캔, 병뚜껑 등은 반드시 분리배출
  • 깨끗이 세척한 플라스틱 용기와 비닐도 재활용 대상

3-2. 음식물 쓰레기

  • 일반 음식물, 과일 껍질, 생선 뼈 등은 음식물 쓰레기로 구분
  • 단, 양파 껍질, 옥수수대 등 일부 품목은 일반 쓰레기로 분류

3-3. 대형 폐기물

  • 가구, 가전제품, 매트리스, 의자 등은 종량제 봉투로 배출 금지
  • 해당 품목은 각 지자체 폐기물 스티커를 부착하여 처리

3-4. 위험물 및 특수 폐기물

  • 건전지, 형광등, 폐의약품, 라이터, 스프레이 등
  • 반드시 지정 수거함이나 약국, 편의점, 행정복지센터 등을 통해 처리

4. 올바른 종량제 봉투 사용 팁

  • 날카로운 물건은 신문지나 박스로 감싸서 배출하기
  • 쓰레기를 무리하게 담으면 터질 수 있으므로 정해진 용량에 맞게 사용
  • 지자체별 봉투 규격이 다를 수 있으므로 지역마트나 동주민센터에서 구매

5. 마무리: 올바른 분리배출이 가져오는 변화

올바른 쓰레기 분리배출은 환경 보호뿐만 아니라 세금 절감, 자원 재활용, 생활 환경 개선에 크게 기여합니다. 단 한 번의 실천이 지구를 살릴 수 있다는 인식으로, 매일의 쓰레기 처리 습관을 점검해봅시다.


📌 관련 FAQ 5선

Q1. 냄비나 프라이팬은 종량제 봉투에 버릴 수 있나요?

A1. 작은 냄비나 프라이팬은 금속류로 재활용 센터에 배출하거나, 대형 폐기물로 분류해 처리해야 합니다. 종량제 봉투에는 넣을 수 없습니다.

 

Q2. 이쑤시개나 나무젓가락은 어디에 버려야 하나요?

A2. 이쑤시개, 나무젓가락은 음식물이 묻어 있거나 재사용이 불가하므로 종량제 봉투에 버릴 수 있습니다.

 

Q3. 이불이나 담요는 어떻게 버리나요?

A3. 부피가 큰 이불, 담요는 대형 폐기물로 분류되며, 지자체 스티커를 부착 후 배출해야 합니다.

 

Q4. 고양이 모래는 전부 일반 쓰레기인가요?

A4. 벤토나이트형 모래는 일반 쓰레기로 배출하며, 일부 생분해성 모래는 지자체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로도 가능하므로 확인 필요합니다.

 

Q5. 치약, 샴푸 공병은 어디에 버려야 하나요?

A5. 깨끗이 씻은 공병은 플라스틱류 재활용에 배출할 수 있으나, 내용물이 남아 있거나 오염된 경우 종량제 봉투에 버릴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