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기를 이용하는 승객이라면 매년 바뀌는 항공 규칙을 꼭 확인해야 합니다. 2025년 3월부터 적용되는 새로운 항공 규정에는 기내 안전 강화 조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특히, 보조배터리 및 전자담배 반입 규정이 엄격해졌으므로 출발 전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기내 안전관리 체계 강화
3월 1일부터 모든 항공기에서는 보조배터리를 위탁수하물로 부칠 수 없습니다. 승객이 직접 소지해 기내로 반입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좌석 위 선반에는 보관할 수 없습니다. 이 조치는 최근 항공기 내 화재 사고가 발생하면서 안전 강화를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국토교통부는 보조배터리 및 전자담배의 기내 안전관리 체계를 강화하는 표준안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고 발표하였습니다. 따라서 보조배터리 및 전자담배는 반드시 승객이 직접 휴대해야 하며, 기내 선반에 두는 것은 금지됩니다.
새로운 보조배터리 반입 절차
보조배터리는 반드시 단락(합선) 방지 조치를 해야 합니다. 절연 테이프를 사용해 단자를 감싸거나, 비닐봉지 또는 보호 파우치 등에 넣어 보관해야 합니다. 또한, 보조배터리 용량에 따라 반입 여부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출발 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기준
- 100Wh 이하: 최대 5개까지 반입 가능
- 100~160Wh: 항공사 승인 후 2개까지 반입 가능
- 160Wh 초과: 반입 불가
항공사에 따라 세부적인 정책이 다를 수 있으므로, 체크인 카운터 또는 공항 안내 데스크에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주요 항공사 대응 조치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이스타항공, 진에어 등 주요 국내 항공사들은 새로운 보조배터리 반입 절차를 안내하고 있습니다. 또한, 각 항공사는 기내 화재 예방을 위해 특수 장비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제주항공의 경우, 모든 항공기에 리튬 배터리 화재 진압 파우치와 내열 장갑을 배치했습니다. 이 화재 진압 파우치는 최대 1600도까지 견딜 수 있는 방염 소재로 제작되었으며, 내부에는 '질석 패드'가 적용되어 있어 산소 차단을 통해 화재를 빠르게 진압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역시 기내에서 리튬 배터리 화재 발생 시 열폭주 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화재 진압 파우치를 비치할 예정입니다. 제주항공은 이륙 전 승무원의 안전 수칙 시연에 앞서 사무장이 직접 안내 방송을 통해 기내 안전 강화를 강조할 계획입니다.
공항 보안 강화
3월부터 국내 주요 공항에서는 보조배터리 반입 절차 강화를 위한 캠페인이 진행됩니다. 공항 보안 검색 시 보조배터리 단락 방지 조치 여부를 확인하며, 미조치된 경우 보완 후 반입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제주공항에서는 하루 평균 3만 명 이상이 이용하는 만큼 혼선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 안내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김복근 제주공항장은 "안전한 공항 운영이 최우선 목표이며, 유관기관 및 항공사와 협력해 강화된 안전 조치가 원활히 시행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